top of page
Writer's pictureShinuh Lee

[SONY_Album Notes] Cello Album _Death and Offering

Updated: Oct 29, 2022



Dr. Shinuh Lee has distinguished herself as a leading composer with accomplished works in all imaginable media, her strong affinity for strings makes it no surprise that her compositions for violin and music for cello are being recognized in separately released recordings. In listening to these works, one hears the evolution of an internationally established composer who is constantly exploring her technique, musical language, and personal beliefs.

This development is evident especially in Lee’s works for cello, which have had admirers and advocates for decades. The instrument seems to be an ideal vehicle for Lee’s spiritual curiosity and engagement with the unknowable aspects of existence. The composer uses the cello as a voice that explores the depths of life’s great mysteries, sometime leaving the listener with answers to take away, other times leaving us only with the experience of the journey.

《Expression》 (1992 rev. 2013) is oneof the earliest pieces in Lee’s catalogue, dating back to the composer’s daysas a student at the Royal Academy of Music in London. The piece is inspired by the work of abstract visual artist Hiroko Imada and was presented as a collaboration with an Imada exhibit. The influences of contemporary Europe are apparent throughout the score: disjunct gestures, microtonal pitch adjustments, and extended techniques all laid out on an unmetered timeline to give the performer improvisatory liberty. Though the surface of this piece does not immediately evoke Lee’s style now, a deeper observation brings the listener to all of the drama, timing, and expressive content we have come to associate with her work today.

Written over two decades later is Lee’s solo cello work 《Psalmody》 (2015-2016) which draws upon a favorite inspiration of the Biblical Psalms of David (in this case Psalm 23, one of the most well-known). The piece begins with scalar contours meant to be played with freedom; and both the modal aspects of Gregorian chant and the rhythmic elasticity of Korean chant are at play here. The work is a model of flexible form heard as the cellist plays through a virtuosic kaleidoscope of colors, tempi, and shapes. 《Psalmody》 uses a quotation from a Korean hymn set to Psalm23, and continually returns to places of quiet humility throughout (there isonly a single fortissimo indication found in the entire piece).

《Death and Offering》 (2020) for cello and piano is one of Lee’s longest works at nearly thirty minutes in duration. The piece gets its name from the story of Robert Jermain Thomas, one of the first missionaries to visit Korea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Joining an American warship that embarked ostensibly to initiate trade, Thomas and compatriots met tremendous resistance from soldiers and local residents as they entered the mouth of the Taedong river, and the crew soon initiated combat. Undeterred by the fighting, Thomas threw gospel books onto the shore, but his boat eventually ran aground and was overtaken. The missionary was captured and killed, but not before asking the soldiers tasked with executing him to take his Bible.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t accounts of this incident in history, it is said that the texts Thomas threw onto the riverbank were collected and displayed publicly years after his death, and that this is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growth of Christianity in the area soon after.

If this story sounds like it would be properly found on the opera stage your thinking would be aligned with Lee’s, who set a text about Thomas’s last moments into an aria. Lee’s vocal setting of “Hear Me, My Beloved” by Eun-E Goh captures the drama of Thomas’s final minutes on earth, and the composer adapted that music for “Death and Offering,” which retains the aria’s tale of fervent passion, painful conflict, and Thomas’s final sacrifice. One can imagine this final scene as Thomas thinks of his difficult past, his travels to far off lands, and ultimately the price of his faith.

The setlist ends with a surprising new piece Caprice No. 3 for solo cello 《tangy》. Dr. Lee has written a series of Caprices for young Korean soloists, and her third one is newly written for her close collaborator cellist James Kim. The piece is a fitting conclusion to a recording of Lee’s cello works that begins in the world of European concert music and ends with a composition heavily influenced (at the request of the performer) by American hip hop, tango, and in the composer’s words “also classical” genres. Regardless of influence, the Caprice No. 3 is in every way a work set in Lee’s memorable musical language with striking harmonies and vibrant single-line counterpoint. Whether or not this new direction will remain a part of Lee’s practice we cannot know. But for all her many listeners, we are reminded of Lee’s commitment to artistic exploration and discovery–the pursuits of a long and thoughtful journey of an extraordinary composer’s career.

David Serkin Ludwig

Dean and Director of the Music Division, The Juilliard School


《Expression》 demands the cellist's full instrumental capabilities to attain a variety of gestures in their purest, uncalculated, and raw form. The focus of the work therefore is not so much the wide range of extended techniques - glissando, left hand articulation, col legno battuto, etc. - as it is the playfully paced stream of irrational, sudden, and volatile iterations which seem, somehow, to be emotionally connected. Set senza misura, the work displays the composer's understanding of both the instrument’s timbres as well as cello technique, and for those reasons performing it is a delight for the cellist.

《Psalmody》 is the antithesis of Expression》; the composer deliberately keeps introductions of new musical ideas to a minimum. Tension is maintained not with quick turns, as in the former work, but by prolongation of material and fluid harmonic and structural changes. Due to this the recurring themes have the energy of ostinatos as well as a trance-like quality. From bright to dark, transparent to opaque, and calm to turbulent, the work journeys through various spiritual levels until the end, where the opening material returns forthe last time, dissipating into soft harmonics, and peace is reached with a final sigh.

I am honored to be the dedicatee of 《Death and Offering》. The work consists of seven contrasting movements for cello and piano. The character of the first is driven, rhythmic, relentless, and charging with unfading tension. The second opens with a beautifully plaintive cello solo intensified by successive piano chords until exploding into an outcry. “Innocente e sonoro, Like a dream” cannot describe more accurately the softly sung third movement which offers a complete contrast to the aggressive characters of the preceding movements. It is depicted by a repeating harp-like motif in the piano joined by continuous held notes in the cello floating on top. The fourth movement divides the instruments with respective solos. The cello opening is emotionally tormented, answered by a descending and solemn piano line seeming to reflect death. The two instruments then join in a dark lament. They then disregard each other in the fifth movement, both representing each end of the dynamic spectrum. This tension breaks into a fast-paced section which ends the movement with an aggressive, animalistic bravura. The greatest contrast separates the fifth and sixth movement, as the latter consists of a folk-like song for the cello, commented by simple chords in the piano. This short penultimate movement is followed by the final chapter, which is marked by the return of materials from the third movement. They are heightened emotionally, considering their location in 《Death and Offering》, but also in regard to key, as the former B-Major realm is now transposed into that of C Major. Complemented by ringing harmonics in the cello, this brings resolution to the enduring tensions which permeate the work.

The title for Caprice No. 3, “tangy”, onomatopoeia for the pizzicato beginning in the cello part which uses a tango rhythm, or serving as its own adjective, invokes the sharp and pungent character of this short piece. The cello erupts into a freestyle improvisation as motifs and ostinatos build up. Shinuh Lee was gracious to write this work for me and to experiment with hip-hop influences as per my request.


James Kim



I have always taken a keen interest in the human psyche and wished to manifest its meanings through my music. Our intangible thoughts which transcend the physical world is often described as “feeling”, “spirit”, or “soul.” This album attempts to explore such realms in my own musical language. I feel so privileged to work with James Kim. He demonstrates colorful textures of sound with his unique phrasing and techniques which grace my works with subtlety and flair. Ilya Rashkovskiy transforms the piano into a rich palette of sound, adding vivid imagination to Kim’s performance to portray our inner self before human mortality.


《Death and Offering》 represents my exploration of the human psyche. My collaboration with a performer as perceptive as James Kim, who understands the latent thematics of my works, made me realize that even my earlier works such as 《Expression》 and 《Psalmody》 could be rendered anew with a more delicate orientation towards the aforementioned theme.


《Death and Offering》 and Caprice No.3 《tangy》 are new works for this album, composed for and dedicated to James Kim. In particular, the Caprice No.3 contains some elements of hip-hop in accord with his request. Overall, I engaged with his enthusiastic ideas in orchestrating the general atmosphere and style of this piece. I truly appreciate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with a performer, in the genuine sense of the word.


Shinuh Lee

(English Translation: Sonjeong Cho)




이신우는 그동안 상상가능한 모든 매개체를 이용해 뛰어난 작품을 작곡하며 작곡가로서 두각을 나타내왔다. 하지만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작품들이 별도의 음반으로 제작된 것은 현악에 강한 애착을 보여 온 그녀로서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작품들을 들으면 테크닉, 음악 언어, 개인적 신념을 끊임없이 탐구해온 이 국제적인 명성의 작곡가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엿볼 수 있다.


이신우의 이러한 발전은 오랫동안 찬사와 추종자를 거느려온 첼로 작품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이 악기는 이신우의 영적 호기심 및 존재의 불가지한 측면과 맞물려 있는 이상적인 전달 수단으로 보인다. 작곡가는 첼로를 삶의 위대한 신비의 깊이를 탐구하는 목소리로 사용하며 때로는 듣는 이로부터 답을 빼앗아가고, 또 때로는 우리에게 여정의 경험만을 남겨둔다.


《표현》(1992, 2013 개정)은 이신우의 작품목록 중에서도 가장 초기작 중 하나로, 그녀가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공부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작품은 비주얼 아티스트 히로코 이마다의 작품들로부터 영감을 받아 작곡된 것으로 이마다의 전시회에 콜라보레이션 작품으로 소개된 바 있다. 동시대 유럽의 영향이 악보 전체에 선명하게 드러나는데, 도약 제스처, 미분음 피치 조정, 그리고 확장된 테크닉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계량되지 않은 타임라인 위로 펼쳐지며 연주자에게 즉흥의 자유를 부여한다. 이 작품은 외피상으로는 이신우의 스타일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오늘날 그녀의 작품과 연관된 모든 드라마와 타이밍, 그리고 표현적 내용들을 엿볼 수 있다.


20여년 뒤 작곡된 이신우의 무반주 첼로 독주곡 《시편창》 (2015-2016)는 다윗의 성경 시편 (널리 알려진 시편 23장)으로부터 비롯된 영감에 근거한다. 작품은 자유로운 연주가 가능한 8분 음표 스케일로 그리는 등고선으로 시작되는데, 그레고리안 찬트의 형식적 측면과 한국 성가의 리듬감 넘치는 탄성이 여기 모두 존재한다. 이 작품은 첼리스트의 비르투오소적인 연주를 통해 색채, 템포, 모양이 마치 만화경처럼 다채롭게 변화하며 유연한 형식의 귀감을 보여준다. 《시편창》은 시편 23장을 가사로 한 한국 찬송가를 인용한 것으로, 시종일관 고요하고 겸손한 곳으로 회귀한다 (작품 전체를 통틀어 포르티시모 fortissimo는 딱 한 번만 등장한다).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죽음과 헌정》(2020)은 이신우의 작품 가운데 가장 긴 작품으로 연주시간이 거의 30여분에 육박한다. 작품 제목은 19세기 후반 한국에 찾아온 최초의 선교사 중 한 명인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의 일화에서 따온 것이다. 토마스와 그의 동료들은 무역을 목적으로 조선으로 향하는 미군함 제네럴 셔먼호에 탑승해 있었다. 이들을 태운 함선은 대동강 하구에 접어들자 조선의 군인과 백성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혔고 곧 전투가 벌어졌다. 싸움의 와중에 토마스는 복음서를 강가에 던지는데 성공했으나 그가 탄 보트는 전복되어 결국 조선 군인들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체포된 선교사들은 죽임을 당했지만, 토마스는 처형을 진행하던 군인에게 자신의 성경을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역사적으로 이 사건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토마스가 강가에 던진 복음서가 수거되어 그의 순교 이후 조선인들에게 공개된 사건은 이후 이 지역에 기독교 신앙이 싹트고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를 오페라로 만들 경우 토마스의 마지막 순간을 위한 아리아에 쓰기 위해 작곡가가 미리 염두에 둔 가사가 있다. 고은이가 쓴 가사 “들으소서, 내 사랑하는 자여 Hear Me, My Beloved”는 토마스가 이 땅에서 보낸 마지막 순간의 드라마를 포착하고 있다. “죽음과 헌정”은 이 노래로부터 착안한 것으로 강렬한 열정과 고통스러운 갈등, 그리고 토마스의 마지막 희생이라는 아리아의 내용을 담고 있다. 토마스가 자신의 어려웠던 과거와 타국으로의 먼 여행, 그리고 궁극적으로 신앙의 대가를 생각하는 마지막 장면을 떠올릴 수 있다.


음반은 첼로 독주를 위한 카프리스 제3번 《짜릿한 tangy》 라는 놀라운 신작으로 마무리된다. 이신우는 그동안 한국의 젊은 연주가들을 위해 카프리스 시리즈를 작곡해 왔는데, 이 세 번째 곡은 작곡가의 친한 동료인 첼리스트 제임스 김을 위해 새롭게 작곡된 것이다. 이신우의 첼로 음악들이 유럽 콘서트 음악에서 시작하여 (연주자의 요청으로) 미국의 힙합과 탱고, 그리고 작곡가 자신의 말마따나 “또한 고전적인” 장르들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 마무리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이 음반에 어울리는 결말이다. 이런 영향에도 불구하고, 카프리스 제3번은 놀라운 화성과 활기 넘치는 단선 대위법 등 모든 면에서 이신우를 떠올리게 만드는 음악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새로운 시도가 이신우의 작곡활동의 일부로 남게 될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그녀의 음악은 듣는 이들 모두에게 예술적 탐구와 발견에 대한 이신우의 헌신을 상기시킨다. 그것은 이 특별한 작곡가가 길고도 사려 깊은 여행 중에 추구하는 바이기도 하다.

데이비드 서킨 러드윅

줄리아드음대 학장

(한국어 번역 : 노승림)



《표현》은 첼리스트에게 가장 순수하고 계산되지 않은 날것의 형식에서 다양한 제스처를 획득할 수 있는 온전한 기악적 능력을 요구한다. 이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따라서 광범위하게 확장된 테크닉 - 글리산도, 왼손 아티큘레이션, 콜 레뇨 바투토 등등 - 이 아니라 재미있는 속도로 흘러가는 흐름이다. 이 흐름을 구성하는 비합리적이고, 갑작스럽고, 변덕스러운 반복들은 어쩐지 감정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듯 여겨진다. 자유로운 템포 senza misura로 설정된 이 작품은 첼로 테크닉뿐 아니라 악기의 음색에 능통한 작곡가의 해박함을 보여주며, 이는 첼리스트로서 이 작품을 연주하는데 하나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시편창》은 《표현》과 대조를 이루는 작품이다. 작곡가는 새로운 음악적 아이디어를 의도적으로 최소한으로만 도입하고 있다. 긴장감은 전작처럼 빠른 전환에 의해서가 아니라 소재의 연장과 화성 및 스트럭처의 유동적인 변화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반복되는 테마는 최면상태와 같은 성격뿐만 아니라 오스티나토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밝음에서 어둠까지, 투명함에서 불투명함까지, 그리고 고요부터 격렬함까지, 이 작품은 마지막까지 다양한 영적 단계를 관통하며 여정을 계속한다. 마지막 순간 다시 소환되는 오프닝 소재는 부드러운 하모닉스 속에서 소멸되며, 마지막 탄식과 더불어 평온에 이른다.


《죽음과 헌정》은 영광스럽게도 내게 헌정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 일곱 가지 대조를 이루는 악장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악장의 성격은 투지가 넘치고 리드미컬하며 혹독하고, 긴장감으로 충만하다. 제2악장은 아름다우면서도 애절한 첼로 독주로 시작되는데, 이는 연이은 피아노 화음으로 강화되다가 격렬한 외침을 토해낸다. “순수하고 낭랑하게, 마치 꿈처럼 Innocente e sonoro, Like a dream”라는 지시어만큼 제3악장을 정확하게 설명할 방법은 없다.

공격적인 이전 악장의 특징들과 완벽한 대비를 이루며 부드럽게 노래하는 악장이다. 이 지시어는 피아노가 반복해서 연주하는 하프 같은 모티브와 그 위에서 부유하는 첼로가 연속해서 이어가는 음표들이 결합하여 표현된다. 제4악장에서 두 악기는 각각 독주 파트를 분담한다. 감정적 고뇌에 빠져 있는 첼로 오프닝에 답하는 피아노의 엄숙한 하강 선율은 죽음을 반영하는 듯하다. 이어서 두 악기는 어두운 비가(悲歌)를 함께 노래한다. 그 다음 제5악장에서 악기들은 서로를 무시하며 각자 다이내믹 스펙트럼의 양쪽 끝을 대변한다. 이 긴장감은 빠른 페이스를 달리는 섹션으로 갈라지며, 공격적이고 동물적인 고도의 기교와 더불어 악장은 마무리된다. 단순한 피아노 화음 위로 민요풍의 첼로 노래가 연주되는 제6악장은 제5악장과 가장 큰 대조를 보여준다. 이 짧은 끝에서 두 번째 악장에 이어지는 마지막 악장은 제3악장의 소재들을 다시 불러들인다. 《죽음과 헌정》에서 이 소재들은 감정적인 고양을 나타내며, 조성에 있어서는 또한 이전의 B장조 영역이 C장조로 전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첼로의 하모닉스 연주가 보강되며 작품에 스며든 계속 지속되어온 긴장들이 해소된다.


카프리스 제3번에 붙은 《짜릿한 tangy》란 제목은 첼로파트가 탱고 리듬의 피치카토로 시작하는 부분을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 혹은 고유의 형용사로 이 작품의 날카로우면서도 자극적인 성격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다. 모티브와 오스티나토가 차곡차곡 쌓이면 첼로는 프리스타일의 즉흥연주를 분출한다. 고맙게도 내 요청을 들어준 작곡가 덕분에 힙합의 영향을 실험할 수 있는 작품으로 탄생했다.

제임스 김

(한국어 번역 : 노승림)


인간의 심리와 내면에 대한 탐구는 오랫동안 나의 주된 관심사였고 이를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 왔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 우리의 육체 넘어 그 어디엔가 자리 잡고 있을 인간의 내적 세계는 흔히 감정, 심리, 정신, 마음, 혼과 영 등의 단어로 이해되어 왔다. 그동안 비록 이와 같은 주제들을 작품에서 정교히 분석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이 앨범에 수록된 작품들이 이러한 인간 내면세계를 추적하고 음악으로 투영하려 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제임스 김은 다양한 소리의 빛깔과 질감, 강도 등을 통해 이러한 내적 양상들을 섬세하고 매력적인 실제 소리로 구현했다. 일리야 라쉬코프스키의 피아노는 풍부하고 다양한 소리의 팔레트를 제공함으로써 첼로의 울림에 표정과 상상력을 더하여 죽음 앞에 선 한 사람의 내면을 선명하게 청각화했다.


인간 내면에 대한 관찰이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구체화된 것은 《죽음과 헌정》이나 이 앨범 전체에 걸친 제임스 김과의 협업을 통해 나의 초기 작품인 《표현》이나 또는 《시편창》 역시 연주자에 따라 이러한 관점이 보다 섬세하고 정교하게 음악화될 수 있음을 경험했다.


《죽음과 헌정》, 카프리스 제3번 《짜릿한 tangy》는 제임스 김을 위해 작곡되고 그에게 헌정된 신작이다. 특별히 카프리스 제3번은 그의 요청에 따라 힙합적 요소들을 작품에서 다루었을 뿐만 아니라 미디 파트를 비롯하여 작품 전체의 분위기와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이 반영된 진정한 콜라보 작품이기도 하다.

이 신 우




412 views0 comments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