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재] 라노버의 꽃향기, 천국으로 향한 아버가버니의 언덕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12> 한국인 음악가들로 되살아나는 순교자의 심장 “야소... 야소...”(예수, 예수) 조선 병사에게 품속에 있던 성경책을 꺼내어 건넨 그는 무릎을 꿇었다. 마지막 순간이 다가왔음을 직감하고 모국어로 토해 낸 그의 한...
48
[연재] 21세기 비올리스트에게 투영된 우리 소리 판소리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11> 카프리스 제 2번 《적벽 赤壁》 비올리스트 이화윤 KBS FM '한국의 젊은 음악가들' 유튜브 영상 캡처 최근 들어 BTS의 몇몇 무대를 보기 시작했다. 다이너마이트, 아이돌 두 곡 모두 다 한국 전통예술 소재와...
51
[연재] 아름다운 소식을 들고 산을 넘는 자의 발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10> 이신우의 코랄판타지 제1번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 (2) 인간의 죄 된 본성과 그리스도 십자가를 통한 대속과 구원의 메시지를 다룬 필자의 코랄판타지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는 2008년...
96
[연재] 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 "Woe to me!" I cried. "I am ruined!"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9> 이신우의 코랄판타지 제1번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 (1) 평양 대부흥운동 100주년이 되던 2007년, 이를 기념하는 예배와 다양한 행사가 기독교 각계각층에서 열렸다. 1996년 시편 20편을 주제로 한...
64
[연재] 바이러스로 멈춘 소리, 침묵 그리고 영감(靈感)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8> 이신우의 카프리스(Caprice) 제1번 '꽃' 궂은 날씨가 지난 후 필자의 정원에 핀 꽃 필자는 재직 중인 학교로부터 연구년을 허락받아 지난 2월부터 영국에 체류하고 있다. 현지에 도착하여 정착할 즈음 한국에...
76
R.I.P. Sukhi Kang(1934-2020)
https://iscm.org/honorarymember/kang-sukhi/ Sukhi Kang was born in Seoul, Korea, on October 22, 1934. He graduated from the Seoul...
84
[음악춘추 특별기고] 한국 현대음악계의 거목, 작곡가 강석희 선생 타계
연구년으로 영국에 나와 있던 중에 선생님의 소천 소식을 들었습니다. 근 사십 여년 가까이 선생님을 지척에서 뵈었는데 마지막 가시는 길을 곁에서 지키지 못해 너무나 죄송하고 마음이 아픕니다. 안타까운 마음을 추모의 메시지로 대신하면서 선생님의...
84
[연재] 자연의 소리, 판소리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7> 해학 속 메시지 <적벽가赤壁歌> '노래'가 아닌 '소리', 판소리. "절박할 때는 절박한 소리로, 급할 때는 급한 소리로, 원통할 때는 원통한 소리로, 한가한 때는 한가한 소리로" 외치는 판소리는 고운 소리를 내려...
75
[연재] 죽은 자를 통해 음악으로 전해지는 하늘의 위로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6> 브람스 독일레퀴엠 Brahms Ein Deutsches Requiem Op. 45 마치 무덤 속 망자(亡者)의 꺼져가는 심장박동 소리와 같이 희미하게 울리는 무겁고 느린 오르간 페달음, 첼로와 베이스, 그 위에...
37
[연재] 날 것의 영성, 소피아구바이둘리나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5> 6년전 메시지 2014년 5월 러시아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Sofia Gubaidulina)가 서울국제음악제의 초청으로 내한했을 때의 일이다. 당시 필자는 재직 중인 대학의 현대음악시리즈에서 국제음악제 측과...
53
[연재] 추모의 메시지에 담긴 삶의 궤적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4> 20세기 마지막 거장 펜데레츠키 잠들다 지난 3월 29일 폴란드의 작곡가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2020)가 타계했다. 그는 전후 20세기 현대음악계를 주도했던 작곡가들 중 이...
34
[연재] 질병과 전쟁 그리고 예술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3> '죽음의 한가운데 존재하는 너저분한 삶' 연일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몇 달 전만 해도 한 국가, 한 지역에서 벌어진 비극이었는데 이제는 최초 발병지를 넘어 우리나라로, 아시아로, 미국, 유럽...
160
[연재] 저마다의 인생을 살다 간 작곡가들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2>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한 사람의 작곡가가 남긴 작품이 수 백 년의 세월을 견디고 살아남아 다른 문화권과 시간 속에서도 널리 향유된다는 사실은 언제 생각해도 놀랍고 경이롭다. 자신의 작품이 사후에 이와 같이 인류에...
138
[연재] 음악, 사람, 그리고 은총
이신우교수의 음악이야기 <1> 음악만들기, 창조주의 놀라운 은총 클래식 음악 연주자들의 경우 리허설과 공연으로 연속되는 삶을 산다. 독주가 아닌 여러 명이 호흡을 맞춰 함께 연주하는 실내악의 경우, 서로 다른 연주자들을 만나고, 연습하고, 음악에...
40
[기고글]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하는 작곡과의 모습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하는 작곡과의 모습 이 신 우 나는 이 글에서 최근 몇 년 동안 느낀 작곡과 학생들의 변화와 이에 대한...
615
[리뷰] 허효정의 인문학 리사이틀 I '숭고의 파노라마' 를 듣고
허효정의 인문학 리사이틀 I '숭고의 파노라마' 를 듣고
2019년 2월 13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허효정의 인문학적 레가토: 호흡과 색, 함축적 의미를 끌어안은 따스함
191
bottom of page